1. 인본주의 양육 이론이란?
인본주의적 양육 이론은 개인의 성장, 자아실현, 잠재력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인본주의적 양육은 아동의 정서적, 사회적, 심리적 발달을 양육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아동이 자각하고 자신감 있고 회복력 있는 개인이 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인본주의란?] 인본주의란 인간의 가치나 권리가 존중되어야 한다는 철학적인 견해입니다. 인본주의는 모든 인간이 평등하게 대우되어야 하며 인간의 생명, 자유, 안전, 행복 등의 권리가 보호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이러한 인본주의가 법적으로 반영된 것이 유엔의 인권 선언입니다. 인본주의는우리 사회에서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가 존중되고 보호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2. 인본주의 양육과 관련된 7가지 주요 원칙과 개념
1)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 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인본주의적 양육은 자녀의 행동이나 행동과 관계없이 자녀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과 수용을 촉진합니다. 이는 아동의 성취나 실수와는 별개로 아동을 한 개인으로서 소중히 여기고 인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자존감을 키우고 건강한 자존감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공감과 적극적인 경청(Empathy and Active Listening): 인본주의적인 부모는 자녀와 상호 작용할 때 공감적 이해와 적극적인 경청을 강조합니다. 자녀의 관점, 감정 및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여 열린 의사소통을 위한 안전한 공간을 만듭니다. 이것은 아이가 가치 있고, 듣고, 이해하고 있다고 느끼도록 돕고, 강한 부모-자식 유대감을 조성합니다.
3) 자율성과 독립성(Autonomy and Independence): 인본주의적 양육은 자녀가 자율성과 독립성을 개발하도록 허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합니다. 부모는 자녀가 나이에 맞는 결정을 내리고 자기 행동에 책임을 지며 경험을 통해 배우도록 격려합니다. 이것은 자립심과 자신감을 촉진합니다.
4) 진정성과 정직성(Authenticity and Honesty: 인본주의적인 부모는 자녀와의 상호 작용에서 진정성과 정직성을 권장합니다. 그들은 진정성 있고 개방적이며 긍정적인 가치와 행동을 모범으로 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부모는 자신의 감정, 생각, 경험에 대해 정직함으로써 자녀가 자신을 진정으로 표현하는 것을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5) 감성 지능 및 자기표현(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xpression): 인본주의적 양육은 어린이의 감성 지능 개발을 강조합니다. 부모는 자녀가 자신의 감정을 식별하고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문제에 대처하고 건강한 감정 조절 기술을 개발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감성 지능은 아이들이 공감 능력을 개발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구축하며 삶의 기복을 탐색하도록 돕습니다.
6) 개성과 잠재력에 초점(Focus on Individuality and Potential): 인본주의적 양육은 각 자녀의 고유한 장점, 관심 및 잠재력을 인식하고 지원합니다. 부모는 자녀가 자신의 재능을 탐구하고 열정을 추구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개발하도록 격려합니다. 이것은 아이의 삶에서 목적의식과 성취감을 길러줍니다.
7) 균형 잡힌 훈육(Balanced Discipline): 인본주의적 양육은 처벌보다는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존중하는 훈육 전략을 장려합니다. 훈육은 행동의 근본 원인을 이해하고 적절한 대안을 가르치는 데 중점을 두고 배움의 기회로 간주합니다. 부모는 명확한 경계와 기대치를 설정하는 동시에 자녀의 개성과 자기표현의 여지를 허용합니다.
인본주의적 육아는 개인과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양육하고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하면서 자녀의 정서와 자율성 및 자아실현을 우선시하도록 권장하는 철학입니다.
3. 인본주의 양육의 문제점
인간주의적 육아에는 많은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잠재적인 과제나 비판도 있습니다. 인간주의적인 육아와 관련하여 자주 논의되는 우려 사항을 몇 가지 소개합니다.
1) 구조와 경계의 결여(Lack of Structure and Boundaries): 자율성과 자기표현을 중시하는 인간주의적 육아는 명확한 구조와 경계의 결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비평가 중에는 아이가 안심하고 자제심을 기르기 위해서는 일관된 가이드라인과 제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적절한 경계선이 없으면 아이들은 충동성이나 권리에 시달리거나 규칙이나 사회규범 준수가 필요한 상황에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비현실적인 기대(Unrealistic Expectations): 인간주의적 육아에서는 아이를 있는 그대로 평가하고 받아들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그러나 비평가 중에는 이 접근법으로는 아이들이 바깥세상의 현실이나 과제에 대비하지 못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자존감과 긍정적인 관심에만 초점을 맞춤으로써 아이들은 항상 칭찬받을 것이라는 비현실적인 기대를 품고 비판이나 실패에 대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3) 역경에 대한 미흡한 준비(Inadequate Preparation for Adversity): 인간주의적 육아에서는 감정표현과 공감이 중시되므로 아이들이 역경을 겪거나 대처하는 것으로부터 잘못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협력적인 환경을 만들어내는 것은 필수적이지만, 아이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과 대처 기술을 기르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들을 모든 불쾌감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아이들 행동의 자연스러운 결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그 후 인생에서 과제에 직면하고 극복하는 능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4) 개성의 과도한 강조(Overemphasis on Individuality): 인간주의적인 육아는 개성의 발달과 자기실현을 촉진합니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개인의 요구나 욕망에 과도하게 초점을 맞추면 커뮤니티, 사회적 책임, 향 사회적 행동 발달의 중요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개인의 성장과 다른 사람의 요구나 행복을 고려하는 것과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5) 문화적 및 맥락에 따른 변동(Cultural and Contextual Variations): 인간주의적 육하원칙이 모든 문화와 가족 환경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육아 실천은 문화적 가치관, 신념, 사회 규범의 영향을 받습니다. 자기표현이나 자주성 중시 등 인간주의적 육아의 일부 측면은 문화적 기대나 규범과 모순될 가능성이 있어 특정 상황에서 이러한 원칙을 구현할 때 과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우려는 인간주의적 육아의 가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각 자녀의 고유한 요구와 그들이 자라는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균형 잡힌 접근의 필요성이 있습니다. 인본주의적 양육 원칙과 함께 구조, 규율및 사회적 책임의 요소를 통합하면 이러한 잠재적인 문제 중 일부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교육 심리 발달과 양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이 늦은 아이, 언어 장애 아이 (0) | 2023.06.27 |
---|---|
폭력적인 아이, 심리와 원인, 대처하는 교육 방법 (2) | 2023.06.16 |
존 듀이(John Dewey)에게 교육이란? 존듀이의 실험 학교, 비판 (0) | 2023.06.05 |
존 듀이(John Dewey)와 교육관, 교육 철학 (1) | 2023.06.05 |
잘 우는 유아의 심리와 대처 방법, 울음 구분하기, 해결책 (0) | 2023.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