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2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 심리 사회성 발달 단계 2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 심리 사회성 발달 단계 2 4. 근면성(industry) 대 열등감(inferiority) - 유능(Competence) (잠재, 7–10세 아동)/인간과 사물의 세계에서 무엇을 이룰 수 있을까? 이 시기 어린이는 기초적인 인지적 기술과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게 되면서부터 가족의 범주를 벗어나 더 넓은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유용한 기술들을 열심히 배우고자 하며 이에 숙달하려고 한다.. 이 단계의 목표는 생산적인 상황에서 놀이에 나타나는 변덕과 과도한 소원을 서서히 제거하고 충실한 상황으로 이행하는 것입니다. 기술의 시대가 발전합니다. 신뢰, 자율성, 근면한 기술을 습득할 수 없다면, 아이는 자신의 미래를 의심하게 되고, 수치심, 죄책감, 실패, 열등감을 .. 2023. 4. 15. 에릭슨 (Erik Homburg er Erikson) 심리 사회성 발달 단계 에릭슨(Erik Homburg er Erikson) 심리 사회성 발달 단계 1902년~1994년 에릭슨은 국적 미국이며 독일 출신의 미국 심리학자. 자아 심리학(自我心理學), 정신발달에 관한 정신분석학(精神分析學) 이론 등에 공헌한 에릭슨이다. 1. 신뢰(trust) 대 불신(mistrust)- 희망(Hope)(구강 감각, 1세 이하 영아)-세계를 신뢰할 수 있는가? 기본적인 신뢰감과 불신감은 아기를 돌보는 이들과 상호작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일관성 신뢰성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부모가 일관성 있고 믿을 수 있다고 느낄 때 아기는 부모에 대해 기본적인 신뢰감을 발달시킬 수 있다. 반대로 불신감이 생길 수 있는데 이것은 부모의 행동을 전혀 예측할 수 없고 믿을 수 필요할 때 부모가 거기 없을 것이라는 .. 2023. 4.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