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심리 발달과 양육

중요한 유아기, 초 급속도 성장기, 형성기, 수용기

by jenna12 2023. 5. 15.

유아기 중요성/ 절대 중요한 이유 6가지 중 3가지

유아기의 중요성 유아기는 초급속도의 성장기, 형성기, 수용기, 훈련기, 토대를 놓는 시기 등 6가지 특징 중

1. 초 급속도 성장기

초 급속도 성장기인 인간의 성장과 발달은 어린 시기일수록 그 속도가 빠릅니다. 일생에서 가장 발달이 빠른 시기는 생후 1년간이고 그다음은 3년간 또 그다음은 6~7년 간이라고 합니다. 이 기간에 아이들은 신체적으로나 인지적으로나 매우 빠른 성장기를 경험합니다.

시카고 대학의 부름(Banjamin Bloom) 박사는 인간의 지능의 반은 4세까지 형상된다고 하였다. 지능의 성장은 출생 후 4년까지가 50%이며, 9세가 지 30% 그리고 17~18세까지가 20% 발달한다고 하였습니다. 부름이 발견한 인간은 그가 가장 급속도로 발달하는 시기에 환경에 영향을 최대한 도로 많이 받는다는 것이며, 그가 10년 동안 연구에 큰 성과를 이룬 것은 "어린이들 속에 잠재해 있는 무한한 가능성의 개발인데 이를 위해서는 유아기의 환경과 경험이 지극히 중요하다"라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유아기의 중요한 이유는 가역성인데 가역성이란 생애의 초년기에 상실한 경험을 후년기에 가서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더 어릴 때의 영양부족, 경험의 결함, 문화적 실조일수록 후에 보충할 수 있는 가역성이 적다는 것입니다.

유아는 배우기 위해서 생의 모든 면에 호기심을 가지고 신기롭게 생각하고 아름다움과 위대한 것에 경이감을 가지고 신변에서 일어나고, 보고 들은 것을 민감하게 느끼고 그것을 다 흡수해 버립니다. 이때에는 자라고 배우고자 하는 내적인 힘 배우고자 하는 의욕, 따뜻한 사랑과 보호에 대한 예리한 감수성이 무한히 왕성합니다. 그러므로 이 귀중한 생명의 무한히 자랄 수 있는 가능성과 한없이 순수하고 아름다운 애정의 싹을 키워 주어야 합니다. 이 시기를 낭비하는 것은 커다란 손해입니다.

이 시기에는 좋은 영양으로 먹이고 또 좋은 환경과 자극을 주어야 하며 운동과 애정 부족이 되지 않도록 잘 양육하면 좋겠습니다. 유아는 또 언어 천재라고 합니다. 이 기간에 유아는 주는 대로 무엇이나 흡수하지만, 아직은 주어진 것을 기계적으로 기억할 뿐이지 취사선택이나 이해하는 작용은 없다고 합니다. 주어진 것들을 머릿속에 배선만 된다는 것입니다.

 

2. 형성기

형성기는 유아기 교육이 인간 능력개발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은 유아기의 형평성 때문입니다. 뇌세포형성, 지능 형성, 인격 형성, 감정형 성형 등의 80%가 6세 이전에 이루어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개인의 인생관, 가치관, 신앙의 바탕도 무의식적으로 이 시기에 형성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아는 보고 듣고 생각하는 대로 인격이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고 심리학자들은 말합니다.

프로이트의 학설에 의하면 인격을 구성하는 요소는 의식적인 면과 무의식적인 면이 있다고 하는데 그중에서도 무의식적인 면의 인격의 8~9할이나 차지한다고 합니다. 그것은 마치 빙산과 같아서 물 위에 떠 있는 얼음보다 물 왕에 잠겨 있는 부분이 훨씬 많은 것과 같다. 이러한 무의식은 감수성이 예민하고 발달의 가능성이 풍부한 유아기에 형성됩니다. 이 시기에 무엇을 많이 보고 어떤 것을 많이 듣고, 어떤 환경에서 무엇을 많이 생각했나에 따라 가치와 가장 강조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따라 아동의 가치관과 인생관이 무의식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아들러는 "아기가 생후 1년이 되면 그의 인생관이 형성된다"라는 말을 했습니다. 아기의 생애 첫인상이 좋은가 나쁜가에 따라 낙관적, 혹은 비관적인 인생관이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어릴 때의 증명, 어머니와의 분리, 부모의 엄한 취급, 기근, 애정결핍 중 사망 등의 초기 경험은 생을 슬프게 볼 수박 없도록 만들기도 합니다. 유아기는 감정이 형성되기도 하는 시기이기도 하므로 이 시기에 될 수 있는 대로 사랑을 주고받는 기쁨이 많이 느끼도록 해서 평생토록 사랑하는 것을 유쾌하게 느끼는 사람이 되게 하여 주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합니다.

 

3. 수용기

수용기는 유아가 자라고 배우고 형성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필요한 재료를 공급받아야 한다. 먼저 받아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초기에는 받는 시기, 즉, 수용기라고 합니다.

말하기 전에 말을 많이 들어야 하고 신체가 자라기 위해서 먹어야 하며, 남을 가르치기 전에 먼저 배워야 하고 사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랑받아야 하는 원리가 있습니다. 유아에게 될 수 있는 대로 좋은 것을 주어서 사랑, 용서, 신뢰, 존경 등을 말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그런 것들을 먼저 받아야 줄 수 있는 것이 가능합니다.

육체적 성장을 위해서는 영양, 수면 등을 취하고 정서적 성장을 위해서는 사랑과 인정과 칭찬을 받아야 하며 사회적 성장은 친구들과 많이 노는 기회가 있어야 하며 지적 성장을 위해서는 지적 자극을 많이 받아야 합니다.

유아의 마음은 무엇이나 주는 대로 다 흡수해 버리므로 최선의 것을 주어야만 합니다.